* 멍석말이 교훈.
옛 두레 공동체에선 멍석말이라는 형벌 제도가 있었다. 마을의 규례나 모듬살이를 저해한 사람에게 주는 벌인데, 마을 회관이나 공터에 그 사람을 불러 놓고 멍석으로 둘둘 말아 감싼 다음 불특정인이 몽둥이로 두들기는 벌이다.
그러나 이 멍석말이엔 숨겨진 비밀이 있다. 멍석의 구조상 신체에 직접적인 위해를 가하지 않으면서 소리를 요란하게 하여 구타를 당하는 사람이나 주위에서 듣는 사람들이 죄를 지어선 안 된다는 경각심을 유발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맞는 사람이 크게 다치지는 않게 하는 경고성 벌이라는 말이다.
또 멍석말이를 당하는 사람은 자기를 때리는 사람이 누군지도 볼 수 없게 할 뿐만 아니라, 치는 사람도 온 동네 불특정 다수가 동참하기 때문에 보복의 악순환도 생기지 않게 한 것이 분명하다. 그리고 또 중요한 것은 만약 자기 아들이 멍석말이를 당하면 그 부모도 자기들이 다하지 못한 자녀교육을 두레 공동체가 나서서 대신하는 것이기 때문에 함께 매질에 동참했다는 사실이다. 이렇게 말과 행동이 막된 그 망나니를 온 동네가 자기 자녀처럼 멍석말이에 동참하여서 두레 공동체의 기강을 세운 것이다.
요즘 우리 사회에도 멍석말이를 좀 했으면 하는 사람들이 많은 게 사실이다. 하극상으로 난리가 난 체육계에도 멍석말이가 필요한 자들이 있는 것 같다. 그 사람이 미워서라기보다, 그 인성을 바로 잡아 주어 창창한 앞길에 큰 교훈이 되기를 바람에서다.
그리고 요즘 교육계도 말이 아니다. 학교 선생님이 학생들의 협박에 위해(危害)를 당할까 봐 두려운 나머지 방탄복을 밉고 강단에 오른다는 기사도 보았다, 그뿐이겠는가! 정치계도 이 나라의 장래를 위해 멍석말이를 했으면 하는 사람들도 많은 듯하다. 내로남불을 일삼거나, 위아래도 없이 입만 살아서 나불대는 자들이 많기 때문이다. 오는 4월 총선에서 아주 잘 살펴서 걸러 내야 할 사람을 걸러 내는 자정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아울러 오늘의 교도행정도 형을 받고 나온 사람들의 재범률이 많은 것을 보면, 형벌 위주의 제도보다는 교도 위주의 정신과 제도로 바뀌었으면 하는 바람이 간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