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에게 바란다. // 황우 목사 백낙은

(부제 : 자본주의의 치명적 모순과 대통령에게 바라는 글).

 

그동안 한 치 앞도 내다보기 어려운 도가니 속과 같은 반년이 지났다. 우여곡절 끝에 제19대 대통령이 선출되어 무주공산에 구심점이 생긴 것 같아 안도의 한숨을 쉬어본다. 새로 취임한 대통령이 광화문 시대를 열겠다고 공언했고, 퇴근 후에 시장에 가서 장보기를 하는 시대를 열겠다고 약속했다. 가슴 뛰는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가장 시급한 것은 현대사회의 가장 큰 문제인 소득의 불균형을 해결하고 극복하는 일이라 여긴다. 인류는 그동안 이러한 자본주의의 치명적인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지만 모두 실패하고 말았다. 공산주의 사회만이 이 소득의 불균형의 모순을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하고 공산사회를 만들어 보기도 했지만, 구소련과 중국, 그리고 북한이 보여 준 대로 역시 실패하고 말았다.

 

구소련은 붕괴하였고, 중국 또한 준 개방사회가 되어 시장경제가 사회를 지배하고 있다. 그래서 중국의 갑부는 세계 제일을 자랑하는가 하면, 가난한 사람은 끼니를 걱정해야 할 지경에 이르고 말았다. 그리고 완전한 공산주의 사회라고 자칭하는 이북도 장마당의 출현으로 서서히 공산사회가 붕괴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지금까지 인류가 발명한 가장 좋은 체제라고 여겼던 자본주의 사회가 이제는 빈익빈 부익부의 치명적인 모순이 심각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분배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배가 불러 죽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이 지구상에는 굶어 죽는 사람들이 더 많은 것이 사실이다. 이런 불균형의 사회는 살아 있을 때뿐 아니라, 죽어서도 계속 된다는 데 문제가 있다.

 

오래전에 헝가리를 방문했을 때 체코 프라하를 방문한 적이 있었다. 앤드루 성당을 중심으로 부챗살처럼 도시가 이루어져 있는 것이 인상적이었고, 도시가 매우 깨끗하다는 인상을 받았다. 그런데 프라하와 그리 멀지 않는 곳에 있는 비셰흐라드 공동묘지를 방문했는데, 지금도 그 광경을 잊을 수가 없다. 보통 묘지라고 하면 음산한 분위기일 것이라는 선입관이 있지만 여기는 하나의 예술 공원과 같았다.

 

이 공동묘지는 1866년 앤서니 비에 렘이 건설했다고 하는데, 예술, 문화, 학문적으로 유명 인사들이 잠들어 있는 곳이었다. 크고 작은 조각품들이 늘어서 있고, 훌륭한 입상들도 여기저기 보였다. 그러나 초라한 비석 하나만 세워 놓은 무덤도 있어 여기도 빈부 격차가 심하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었다.

 

이번에 뉴욕을 관광하고 맨해튼에서 케네디 공항으로 가는 길가에 천주교회가 운영한다는 공동묘지를 지나왔다. 그 규모가 얼마나 대단한지 도시계획 구간의 두 블록을 다 차지하는 규모였다. 거기도 역시 빈부의 격차가 심해 보였다. 하늘에 닿을 것 같은 조각품이 있는가 하면 땅에 붙은 무덤도 있다.

 

역사적으로 볼 때 분배의 불균형이 해소되었던 때는 단 한 번 있었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AD4~50년경에 이룩했던 예수 공동체 즉 초대교회이다. 가진 것을 서로 나누며 완전한 공유공동체를 만들었던 때이다. 하지만 그것도 오래가지는 못했다. 이런 아름다운 평등사회는 언제쯤 이뤄질 것인가? 이 땅 위에서는 바랄 수도 없는 것인가?

 

구약의 이사야 선지자는 분명히 이리가 어린 양과 함께 살고. 암소와 곰이 함께 먹으며. 사자가 소처럼 풀을 먹는(이사야 11:6~9) “그때가 오리라는 것을 예언했다. 이런 세상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게 보이긴 하지만, 인간들의 노력의 결과로 언젠가는 이뤄지리라 믿는다.

 

대통령께 바라기는 이리, 표범, 사자, , 독사와 같은 통치자들과 기득권자들이, 어린 양, 어린아이, 염소, 그리고 소나 양들로 표현된 노동자 농민, 장애인, 소외된 사람들과 함께 어우러져 사는 세상, 이들이 다 같이 풀을 먹는 세상, 더불어 사는 공동체를 이루어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 간절하다. 이사야 선지자가 꿈꾸던 그 아름다운 이상향이 하루속히 이 땅에 이뤄지기를 학수고대해 본다.

Posted by 삼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