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이 다녀 가셨나보네. // 황우 목사 백낙은.

 

달포 넘게 집을 비웠더니

기별도 없던 임이 그새를 못 참고

다녀가신 발자국 여기저기 선명하다.

 

매화는 입덧을 시작했고

울타리 밑 양지쪽 원추리는

국을 끓이긴 너무 쇠어 버렸다.

 

겨우내 옷섶 꽁꽁 여몄던 동백은

옷고름 풀어헤친 가슴에

젖무덤 봉싯봉싯 잘도 부풀었다.

 

땅 짐 지고 엎드렸던 냉이마저

임 따라 가려는지 흰 돛대 달았고

삼동 초 장다리엔 황포돛대 달았네.

 

실성한 함박은 히죽히죽 웃기만하고

살구나무는 백발을 휘날리며

온 몸으로 살아 있음을 노래하누나.

치맛자락 잡는 요량(料量)으로

햇살담긴 쑥부쟁이 뜯어다가

구수한 쑥버무리 해먹어야겠다.

 

* 봉싯 : 소리 없이 예쁘장하게 조금 입을 벌리고 가볍게 웃는 모양.

 

Posted by 삼락
,